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6c9ce794e3359e7b1a32275d3df6c300558ae6bc" /> 노인 우울증과 망상장애 증상의 원인과 치료
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노인 우울증과 망상장애 증상의 원인과 치료

728x90

현대사회는 젊은 층의 사람들도 우울증을 많이 겪고 있습니다. 젊은 층의 우울증상은 주로 심리적인 부분을 호소하지만 노인의 우울증은 신체 특정 부위의 통증, 불면, 기억력 저하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또한 섬망이나 망상 증상이 동반돼 치매와 혼동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노인의 우울증과 망상의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노인 우울증

노인 우울증은 평균적으로 60세 이상부터 발생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여러 가지 신체적 질환과 뇌혈관, 신경퇴행성 질환 등을 겪으면서 점차 몸이 약해집니다. 여기에 심리적인 노년기에 경험하는 것들이 가중되면서 우울증이 나타납니다. 우울증이 심하면 일반 치매에 비해 인지 기능손상이 갑자기 타나 나기 때문에 기복에 따라 인지 기능이 달라진다면 노인성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노인 우울증 발생 시 나타나는 증상

우울한 기분, 두통, 현기증, 감각 무뎌짐, 예민함, 소화 불량, 식욕저하, 수면장애, 기억력 장애, 가슴이 답답하고 숨쉬기 힘들어짐
위의 증상 중 1~2개 이상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 되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권고합니다.

 

 

노인 우울증 예방과 치료

1. 충분한 수면
2. 균형 잡힌 식단
3. 매일 10분씩 햇빛 쬐기
4. 규칙적인 운동 유산소 운동
5. 취미활동 하기

 

 

매와 노인 우울증 차이

둘 다 노년기에 오는 질병이지만 증상과 치료법이 달라 차이점이 있습니다.
치매는 뇌기능 손상으로 인해 인지능력저하 및 수행 능력 장애가 발생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노년기 우울증으로 인지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기성치매라고 부르지만 우울증은 치료 시 인지기능이 회복되기 때문에 치매와는 다릅니다.


 

2. 섬망증상

섬망증상은 뇌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비가 감소되면서 퇴기능이 저하되어 발생됩니다. 뇌혈관 장애나 두부외상 등 뇌 기질성 질환으로 나타나거나 심질환, 골절 수술과 탈수, 약물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나타납니다.
섬망은 노인들에게서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특히 입원이나 수술 후에 환각, 환청 등을 겪으면서 증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섬망은 의식이 혼탁해지거나 강한 공포감과 불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노인 섬망을 처음 목격하는 보호자는 매우 놀라고 걱정이 크겠지만 신체 상태가 안정이 되면 곧 이전의 상태로 회복됩니다. 섬망은 뇌가 손상되었다는 표식이기 때문에 증세를 보일 때 적극적으로 치료를 해야 하며 후에 회복이 되었더라도 치매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섬망 증상 요약

1. 수면장애
2. 집중력 저하
3. 사고 장애
4. 정신 운동 장애
5. 공격적, 충동적인 돌발행동
6. 환시현상 발생

 

치매와 섬망의 차이

치매와 섬망은 매우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지속성에 따라 차이를 둡니다. 섬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일시적이고 급격하게 발생하면서 변동이 심하지만 치매는 급속도로 증상이 진전되는 것이 아닌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납니다. 기억력이 서서히 나빠지고 그런 변화가 보이는 것입니다.
또 다른 차이점은 치료의 차이입니다. 섬망은 원인을 찾으면 며칠 만에 호전되며 치료 가능성이 높지만 치매는 회복이 어렵고 점점 악화되는 경과를 보입니다.

요약하자면
1. 섬망은 급속도로 진전되지만 치매는 점진적으로 만성적인 증상을 보입니다.
2. 섬망은 초기 의식 수준이 현저히 떨어지지만 치매는 초기의식 수준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3. 섬망은 주의력장애, 정신착란 등의 증상을 주로 보이지만 치매는 기억장애를 주로 보입니다.
4. 섬망은 뇌파에 이상이 있지만 치매는 뇌파가 정상적입니다.
5. 섬망은 회복이 가능하지만 치매는 회복이 어렵습니다.

 

치료

1. 친숙한 환경이 도움이 많이 되기 때문에 가족이 간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가 평소에 사용하는 물건을 병실에 함께 둡니다.
2. 오늘의 날짜와 상황을 알려주어 상황을 파악하게 해야 합니다. 간호하는 가족이 주기적으로 날짜, 장소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해주어야 합니다.
3. 은은한 조명을 설치하여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켜 줍니다. 주로 야간에 섬망이 발생되기 때문에 섬망으로 인한 환자 불안을 없애주어야 합니다.
4. 환자의 시력이나 청력이 저하되었다면 환자의 불안감이 악화될 수 있기에 안경이나 보청기를 사용하여 도움을 줍니다.
5. 증상완화를 위해 약물치료도 필요합니다.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과는 달라 환시, 망상, 동작 느려짐, 인지기능 변동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과는 달라 환시, 망상, 동작 느려짐, 인지기능 변동

치매의 원인 중 대표적인 원인 질환으로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를 꼽을 수 있습니다. 저역시도 알츠하이머와 뇌질환으로 인한 치매는 알고 있었지만 루이소체치매는 이번에 처음으로 듣는

jincoco.tistory.com

100세 시대 혈관 지키는 건강한 식습관

 

100세 시대 혈관 지키는 건강한 식습관

현대사회는 고령화가 증가하면서 심혈관 질환으로 고통받는 인구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편리한 시대에 간편식이 늘어나며 식습관에 문제가 많아 보입니다. 이 식습관은 바로 혈관과 관련이 있

jincoco.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