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6c9ce794e3359e7b1a32275d3df6c300558ae6bc" /> 신용점수 올리기 KCB와 NICE 차이점 신용점수 관리
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일상

신용점수 올리기 KCB와 NICE 차이점 신용점수 관리

728x90

부모님과 함께 살 때는 신용에 특별한 관심을 갖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하며 자취, 결혼, 사업 등 목돈이 들어가는 시점에서 대출을 처음 접하게 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나 주변에서 도와줄 수 없는 경우 금융기관에 도움을 받게 되는데요, 금융기관에서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평가를 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신용점수입니다. 

여기서 신용점수가 왜 중요하냐면 돈을 빌리는 과정에서 나의 신용점수가 정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신용점수를 관리하는 KCB, NICE 평가사의 차이점과 신용점수를 간단하게 올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CB / NICE 차이점

 

KCB : 금융거래 활동에 비중이 더 큽니다. 어떤 기관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신용카드, 급여이체 같은 금융 활동이 활발하면 가산점이 많습니다. 

 

NICE : 돈을 빌린 후 연체하지 않고 잘 상환하고 있는지, 과도한 채무 여부를 많이 봅니다. 대출은 물론 카드와 관련된 부분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아무리 연체가 없고 상환을 잘하더라도 부채 건수가 많으면 점수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두 평가사의 차이는 점수산정 방식이며 공통적으로 체크하는 부분은 4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NICE에서는 1가지 항목을 추가로 체크하고 있습니다.

 

KCB와 NICE 평가기준

 

  • 상환이력 : 대출, 신용카드, 세금등을 연체하지 않고 제때에 맞게 상환을 하고 있는지 여부
  • 부채 수준 : 금융권 대출 및 카드대금의 보유 수준
  • 거래기간 : 신용카드나 금융권 활동 거래기간
  • 거래형태 : 할부 및 신용대출 등 어떤 형태의 거래를 적절히 하고 있는지 여부
  • 비금융 신용정보 : 연금이나 건강보험료, 통신료등의 납부 여부

 

 

 

토스를 이용해서 쉽게 신용점수 올리기

 

신용점수를 올리는 금융 사이트는 여러 개가 있지만 오늘은 토스로 3분 안에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토스 앱 접속 후 우측 하단의 전체(≡)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내 신용점수를 클릭합니다.

 

 

 

 

3. 현재 본인의 KCB, NICE 점수가 보입니다. 바로 아래에 '신용점수 올리기'를 클릭합니다.

 

 

 

 

4. 한번 더 신용점수 올리기를 클릭해 주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 각종 납부내역(국민연금, 건강보험, 소득 금액 증명서, 통신비 납부내역을 체크됩니다.

 

 

 

 

신용점수는 평소에 꾸준히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습니다. 신용점수가 낮으면 1 금융권에서는 대출을 받기고 어려워지며 그 외 다른 대출들도 받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점수가 높을수록 금리 또한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면서 관리를 하는 습관이 필수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