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6c9ce794e3359e7b1a32275d3df6c300558ae6bc" /> 성조숙증 원인과 증상 2차성징
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일상

성조숙증 원인과 증상 2차성징

728x90

우리나라에서 성조숙증으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는 2021년 16만 6645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이 수치는 2019년 10만 8576명에 비해 53.5% 증가로 5만 8069명이나 늘었습니다. 

최근 성조숙증으로 진료를 받는 어린이가 크게 증가한 이유는 부모님들의 성장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소아비만, 환경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성조숙증 증가세가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성조숙증의 관심이 커지면서 성조숙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싶은 분들에게 원인과 증상, 예방법 등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차 성징이 빨라지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성조숙증이란 사춘기 현상이 지나치게 빨리 시작되는 질환입니다. 사춘기 현상은 유방 발달, 음모 발달, 고환 크기 증가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런 현상이 여자 아이는 8세 이전, 남자아이는 9세 이전에 나타나면 성조숙증으로 진단합니다.

 

 

 

 

성조숙증 원인

 

여아의 정상적인 사춘기는 시상하부-뇌하수체 활성화가 가장 먼저 나타나며 이후 난소에서 여성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유방이 나오고 다른 신체 변화들(음모 발달, 키성장, 여드름)이 순차적으로 나타납니다.  

여아의 경우는 80%가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입니다. 난소 종양이 원인인 경우가 15%, 대뇌 병소가 있는 경우가 5% 정도를 차지합니다. 

 

남아도 시상하부-뇌하수체의 활성화가 가장 먼저 나타나며 이후 고환이 커지면서 남성호르몬 분비가 증가하고 다른 신체 변화들(여아와 같음)이 순차적으로 나타납니다. 남아 성조숙증의 경우 나쁜 원인 질환이 없는 특발성이 50%, 대뇌 자체에 병소가 있는 경우 20%, 부신 피질 과형성 혹은 종양이 25%, 고환 종양이 5% 정도를 차지합니다. 

 

남녀의 성별에 관계없이 우리 신체는 분비되는 성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 변화가 나타납니다.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또는 고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진성 성조숙증,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가성 성조숙증이라고 하며 성조숙증은 남아보다 여아에게 흔하지만 심각한 병적 원일을 가지는 경우는 남아가 더 흔하다고 합니다.

 

대부분 이런 요인을 추정하고 있지만 90% 이상이 특정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대시대는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비만의 원인도 비중을 많이 차지하며 특히 여성호르몬은 피하지방이 증가하면서 호르몬의 분비가 늘어나기 때문에 피하지방이 많은 아이의 경우 사춘기가 빨리 올 가능성이 큽니다.

일회용품 사용이나 인스턴트, 가공식품 등으로 인해 환경호르몬에 노출되는 경우도 문제가 됩니다. 살충제 역시 성장호르몬을 교란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호르몬은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호르몬의 균형을 깨트립니다. 

성적자극 노출이 쉬운 스마트폰, 인터넷을 통한 과도한 시청각적 자극으로 뇌신경에 영향을 주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칩니다. 

 

 

 

 

 

성조숙증 증상

 

  • 최근 1년 사이에 키가 7~8cm 이상 훌쩍 자랐다.
  • 머리냄새가 땀냄새가 늘기 시작했다. 특히 정수리 냄새
  • 음모나 냉대하 같은 분비물이 보인다. (여아)
  • 얼굴의 피지분비가 늘어나면서 여드름이 나기 시작한다.
  • 난소가 있는 아랫배통증을 호소한다. (여아)
  • 못젖이 나오고 변성기가 시작됐다. (남아)
  • 얼굴에 수염이 나기 시작하고 어깨가 넓어졌다. (남아)
  • 가슴에 멍울이 만져지기 시작한다.(여아)
  • 고환이 커지기 시작하고 검은색으로 변한다.(남아)

 

 

 

성조숙증 검사

 

우선 전문가가 병력 청취를 통해 2차 성징이 나타난 시기, 진행속도, 성장속도 변화, 가족력, 출산, 과거 병력 등 유전적 요인도 파악하며 이후 신체성장과 사춘기 발달정도를 평가하고 골연령(뼈나이)을 측정해 나이에 비해 어느 정도 앞서 있는지 평가합니다. 골연령 검사는 좌측 손목의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진행하며 아이 나이보다 1년 이상 앞서 있다면 성조숙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 치료는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단, 여아는 만 9세 전, 남아는 만 10세 전까지 성조숙증 치료를 시작하여야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 9세와 만 10세 생일이 하루라도 지난 경우는 보험적용이 불가피합니다.)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니 아이의 성장과정을 주의 깊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치료기간은 보통 2~5년 정도입니다.

 

 

 

 

 

성조숙증 예방

 

성조숙증은 비만이나 과체중이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체중관리가 중요합니다. 2달에 1kg 이상 체중이 늘어나지 않도록 부모님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적당한 운동과 인스턴트, 패스트푸드등의 섭취는 개선이 필요하며 성장촉진제, 환경호르몬이 우려되는 식품 또한 제한해 줍니다. 아이들에게 성인용 화장품이나 샴푸, 바디워시 등의 노출도 최대한 줄여주시는 게 좋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