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이 요즘 입에 달고 사는 단어가 '번아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번아웃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번아웃의 사전적 의미는 어떠한 활동이 끝난 후 심신이 지친 상태, 즉 심리적, 생리적으로 지친 상태를 말합니다. 번아웃 증후군은 의욕과 동기를 완전히 상실하고, 자존감이 저하되고, 냉소적으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신체 건강과 정신 건강 모두에 영향을 미쳐 일상적인 업무를 진행하기가 힘들어집니다.
번아웃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 Hervert Freudenberger라는 심리학자가 처음으로 사용했습니다.
번아웃을 '일로 인해 정신과 육체가 고갈된 상태'라고 정의했습니다.
특히 2019년 세계 보건기구(WHO)는 번아웃 증후군을 직업 관련의 증상 하나로 인정하기도 하며,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했을 정도로 간과해서는 안 되는 일도 판단했습니다.
자신이 평소에 자꾸 화가 나고 잠을 깊게 못 자며 두통, 가슴 통증이 있다면 번아웃 증후군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고 합니다.
번아웃 증후군의 단계
1단계 : 내게 주어진 모든 일에 일거리를 만들어서라도 진취적으로 능동적 업무처리를 하는 단계
2단계 : 나의 일에 집중도를 높여 성과를 내기 위해 몰입되어 있는 단계이며 심각한 경우에는 식사시간마저도 일하는 시간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주위 사람들에게 소홀하게 되어 갈등이 생기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3단계 : 이렇게 일에 매진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인정받기 시작합니다. 더욱더 일에만 몰두하게 되고 주변 사람들과의 갈등이 심해지게 되면 일에 방해가 되는 요소라 여기고 모두 정리를 하기 시작합니다.
4단계 : 스스로 일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으로 생각하게 되며 현재 상황의 문제점을 인지하기 시작합니다.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술이나 약물로 빠지는 경우도 생깁니다.
5단계 : 스스로 내면 속 공허함이 생기기 시작하여 공허함을 해결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기 시작합니다. 주변 사람들에게는 경계하거나 방어적 자세를 취하고 자신의 건강을 방치하기까지 합니다.
6단계 : 우울증 증상이 심하여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한 단계입니다.
번아웃 증후군 극복, 예방
번아웃 증후군의 증상은 우울증 증상과 비슷합니다. 그래서 본인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가 진단으로 번아웃 증후군 상태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주위 사람들에게 본인의 상태를 솔직하게 털어놓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상황을 잘 알아야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번아웃 증후군의 예방을 위해서는 시간을 현명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건강한 생활 방식을 영위하고 직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개방적이고 솔직하게 소통하는 것은 건강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방법입니다.
자기 몸을 잘 돌봐야 합니다. 운동이나 명상, 건강한 식단관리를 통해 건강한 생활습관을 꾸준히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적당한 휴식을 취하면서 잠시 집중하고 있는 일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합니다. 휴식 시간에는 일과의 연결은 과감히 끊고 본인이 좋아하는 활동에 온전히 집중하면 좋습니다.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 전세권 기출문제 (0) | 2023.06.01 |
---|---|
민법 지역권 기출문제 (0) | 2023.05.30 |
월경 전 증후군 PMS 생리전증후군 증상 (0) | 2023.05.15 |
만 나이 적용 2023년 6월 28일 시행 만 나이 계산방법 (0) | 2023.04.14 |
청년도약계좌 6월 중 출시 예정 (0) | 202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