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6c9ce794e3359e7b1a32275d3df6c300558ae6bc" /> 밥을 천천히 먹어야 하는 이유 식습관 개선의 중요성 빨리 먹으면 안되는 이유
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일상

밥을 천천히 먹어야 하는 이유 식습관 개선의 중요성 빨리 먹으면 안되는 이유

728x90

한국인의 평균 식사시간을 조사해 보니 10분 미만이 53%로 절반을 넘었고 15분 이상을 먹는 사람은 약 10%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건강을 결정짓는 요소 중 식습관은 매우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오늘은 밥을 빨리 먹으면 어떤 현상이 생기는지 식습관 개선이 왜 중요한지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밥을 제대로 씹지 않고 빨리 먹으면 일어나는 현상

 

 

우리 몸에 들어오는 음식물에 각 영양소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이 잘게 쪼개져야 합니다. 거기에 소화 효소가 필요합니다. 소화 효소가 음식물을 더욱 잘게 쪼개어서 흡수되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이 소화 효소는 대부분 침이 대표적입니다. 음식물을 입안에 넣으면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에서 침이 나오고 침은 소화되기 쉬운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음식을 빨리 먹게 되면 이 작용을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꼭꼭 씹어 먹어야 음식물이 더욱 잘게 쪼개지고 소화가 잘 되게 되는 것입니다.

 

 

1. 비만과 성인병

빨리 먹게 되면 포만감을 느끼지 못해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됩니다. 음식을 섭취 후 15분 정도 지나야 포만감이 뇌로 전달되어 배부름을 느끼게 되는데 포만감을 느끼기 전에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서 비만이 되는 것입니다.

이 포만감은 렙틴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야 뇌까지 전달이 됩니다. 10분 미만에 식사를 끝낼 정도로 음식을 빨리 먹으니 렙틴이 분비되지 못하고 더 많은 음식을 섭취하게 되어 칼로리 섭취량이 그만큼 크게 증가하는 것입니다. 

또한 고지혈증, 당뇨병, 지방간, 심혈관질환 등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2015년 한 대학 연구팀의 당뇨병 진단을 받은 사람들 234명과 당뇨병이 없는 사람들 468명을 대상으로 평상시 식사 속도를 비교한 결과, 식사 속도가 빠른 사람의 경우 제2형 당뇨병 발병률이 평균 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지혈증과 당뇨병은 대부분 나이가 들어서 걸리게 되는 질병입니다. 빨리 먹는 습관을 고치지 못한다면 나이가 들어서 문제가 됩니다. 내가 밥을 빨리 먹고 있구나를 느끼고 있는 사람은 나이 들어서 고생하지 않게 빨리 먹는 습관을 반드시 고쳐야 합니다.

 

 

 

 

2. 위장병, 위염

평상시 식사 시간이 15분 이내인 사람은 위염이 생길 위험이 최대 1.9배 높다고 합니다. 음식을 잘게 씹어 먹지 않으니 소화시켜야 할 음식물들이 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위점막에 위산이 더 많이 노출되고 위장관계 질환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3. 식도염

음식을 잘 씹지 않고 삼키게 되면 공기가 음식물과 함께 위로 들어가 위가 갑자기 팽창하게 되고 위는 압력을 낮추기 위해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게 되는 과정에서 위산이 함께 역류해서 식도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밥을 천천히 먹는 습관 들이기

 

 

위에서 언급했듯이 밥을 천천히 먹는 것을 습관화하다 보면 침샘에서 아밀라아제가 많이 분비됩니다. 이 아밀라아제는 소화가 잘 되게 도와주고 몸 내부 산성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어 위장질환과 식도염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천천히 오래 씹는 습관은 뇌 건강에도 많은 도움을 줍니다. 음식물을 오래 씹을 경우 뇌 세포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뇌를 활성화시켜 줍니다. 이는 치매 예방에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치아가 적은 노인보다 치아가 많은 노인이 치매에 걸릴 확률이 80% 이상 높다고 합니다.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여줍니다. 소화 효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음식을 제대로 씹지 않고 빨리 먹게 되면 위장에서는 그 큰 조각들의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위해서 아주 많은 소화 효소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생기는데  아무래도 에너지 사용을 많이 하게 되고 몸에서는 피곤함을 느끼기 쉽게 됩니다.

 

천천히 먹는 습관은 하루아침에 고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내가 밥을 먹는 속도가 평소에 빠르다고 느끼고 있다면 주변에 천천히 먹는 사람과 함께 식사를 하면서 속도를 맞추며 개선시키는 방법도 좋습니다.

식사 시간에 많은 대화를 나누는 것은 좋지 않지만 대화를 적당하게 하면서 천천히 드시는 것도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