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6c9ce794e3359e7b1a32275d3df6c300558ae6bc" /> 건조한 눈 예방하기 관리법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건조한 눈 예방하기 관리법

728x90

현대사회는 전자기기 사용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현대인들의 공통적인 특징인 잠자기 전 스마트폰 보기, 일어나자마자 폰 확인하기 등으로 눈의 피로는 더 심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건조한 눈으로 불편을 호소하는 현대인들을 위한 건조한 눈 예방하는 방법과 건강한 눈 관리하는 방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인공눈물

 

 

 

안구는 점액층과 수성층, 지방층으로 이루어진 눈물막으로 덮여 있어 언제나 부드럽고 촉촉하게 유지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세 단계의 눈물막 중 하나라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눈이 건조해지는 안구건조증이 발생합니다.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원인은 제일 많은 원인으로 꼽히는 전자기기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것이고, 나이의 증가, 약물, 눈물 분비 저하, 눈물의 과도한 증발, 눈물샘의 염증 등 여러 원인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안구건조증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이 '인공눈물'인데요, '인공눈물'은 일시적으로 부족한 눈물을 보충할 뿐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않기 때문에 생활환경이나 생활습관부터 개선해야 합니다. 

 

 

눈 건조 예방 및 관리법


 

1. 눈 자주 깜박이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 등 무언가에 집중하게 되면 눈 깜빡임이 자연스럽게 줄어듭니다. 눈을 일부러 자주 깜빡이는 것만으로 눈의 피로가 풀릴 수 있습니다. 눈 깜빡이는 습관을 들여 눈의 피로를 줄여 주어야 합니다. 

 

 

 

2. 눈 마사지 하기

 

깨끗한 손바닥을 비벼 따뜻하게 해 준 후 눈을 감은 뒤 살짝 올려놓습니다. 2~3분 정도 지그시 눌러주면 눈의 피로를 푸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 하나의 방법은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을 준비합니다. 우선 따뜻한 물에 수건을 적셔 얼굴에 따뜻한 수건을 올려놓고 3분 정도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해줍니다. 그다음 차가운 물을 적신 수건을 얼굴에 올려줍니다. 두 수건을 교차로 사용하면 

혈관이 수축과 확장이 변화되면서 눈의 혈관을 자극시켜 줍니다. 

 

 

 

3. 눈 운동해 주기

 

눈동자를 아래위 양옆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해 줍니다. 우측 방향으로 3번,  좌측 방향으로 3번씩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정한 거리에 위치한 사물에 초점을 잘 맞추기 위한 연습인 눈 초점 고정 연습도 도움이 됩니다. 

눈동자로 숫자 8 모양을 그리는 것도 좋습니다. 바닥에 숫자 8이 있다고 생각하고 숫자 8 모양을 천천히 눈으로 그리며 한쪽 방향으로 몇 분간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몇 분 동안 그리는 것을 반복해 줍니다. 이 운동은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연습으로 좋은 운동입니다. 

 

 

 

4. 쉬는 시간 정해서 쉬어주기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는 40~50분이 지나면 10분 정도는 눈을 쉬게 해 줍니다. 먼 곳을 응시하거나 눈을 감고 잠시 휴식을 취해줍니다. 

 

 

 

 

5. 눈을 함부로 비비지 않기

 

눈을 비비면 안구에는 눈을 깜빡일 때보다 약 100배 이상의 상처가 납니다. 안구에 상처가 나 염증이 생길 경우 눈은 더욱 건조해집니다. 

 

 

 

 

6.  눈 건강에 좋은 음식 자주 먹기

 

비타민A와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당근이나 블루베리, 브로콜리 및 오메가 3 지방산이 풍부한 연어, 고등어 등 등 푸른 생선을 섭취하는 것도 눈물을 만들고 눈물막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좋은 방법입니다. 

 

 

 

 

7. 눈꺼풀을 건강하게 관리하기

 

마이봄샘에 영향을 주는 아이라인 문신이나 짙은 눈화장은 피합니다. 만약 아이라인을 그린다면 마이봄샘의 위치를 피해 속눈썹 바깥쪽에 그려줍니다.  

 

 

 

 

8. 충분한 수분 섭취하기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 주는 것도 눈 건조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너무 늦은 시간에 먹는 야식과 과음은 피부의 수분을 부족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눈 건조 증상에 좋지 않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분한 수면도 같이 취하여 비타민C, 견과류, 짙은 녹색 채소, 현미, 콩, 생선 등의 항산화 식품도 섭취해 주면 좋습니다. 

728x90